프롬프트
이 문제를 푼 학생들에게 변형 문항을 제시해서 훈련을 시키려고 해. 비슷한 유형의 문제 3개를 뽑아줘. 단 너무 비슷하면 안돼
GPT에게 문제 검토하게 하기
노션으로 파일 만들어서 매일 훈련하게 하기
논리 문제를 GPT를 통해 만들 때는 다음과 같은 접근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문제 형태 구상하기:
먼저 어떤 유형의 논리 문제를 만들고 싶은지 정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조건들에 따라 누가 무엇을 가졌는지, 어떤 사건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등을 추론하는 논리 퍼즐, 혹은 명제 논리 조건들을 바탕으로 참/거짓을 구분하는 문제 등이 있습니다.
•
"부서 선정 문제"처럼 A, B, C라는 요소에 대해 특정 조건(‘A이면 B’, ‘¬A이면 C’, 등)을 설정한 뒤, 결과적으로 어떤 항목들이 반드시 참이거나 거짓인지 묻는 문제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2.
조건 정리하기:
논리 문제의 핵심은 명확하고 모순 없는 조건 설정입니다.
•
A, B, C와 같은 변수를 정하고 이들 사이의 논리적 관계(‘~이면 ~이다’, ‘~가 아니면 ~도 아니다’, ‘둘 다 참일 수 없다’ 등)를 몇 가지 제시합니다.
•
조건은 최소 3~4가지 정도 제시하면 충분히 복잡한 논리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3.
문장 형태로 다듬기:
조건들을 자연어 문장으로 바꿉니다.
예를 들어,
•
"인사부가 선정되면 총무부도 선정된다." (A → B)
•
"인사부와 총무부가 모두 선정되지는 않는다." (¬(A ∧ B))
•
"인사부가 선정되지 않으면 총무부도 선정되지 않는다." (¬A → ¬B)
이렇게 조건들을 명제로 바꾼 뒤, 이를 다시 문장으로 표현합니다.
4.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질문 만들기:
조건을 모두 종합했을 때, 어떤 사실이 반드시 참인지, 또는 어떤 부서가 선정되는지/되지 않는지 묻는 형태로 질문을 만듭니다.
예: "위 조건이 모두 참일 때, 다음 보기 중 반드시 참인 것을 모두 고르시오."
5.
GPT 활용하기:
이제 GPT에게 다음과 같이 프롬프트를 제공합니다.
•
"다음과 같은 형태의 논리 문제를 만들어줘:A, B, C라는 3개의 부서(또는 요소)가 있고, 아래와 같은 조건들이 성립한다.
1.
...
2.
...
3.
...이 조건들을 모두 만족할 때 어떤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지 묻는 문제를 만들어줘. 보기와 정답 해설도 제시해줘."
이렇게 GPT에게 원하는 논리 구조와 문제 형태, 조건의 예시 등을 알려주면 GPT가 유사한 형태의 논리 문제를 생성해줄 것입니다.
6.
생성된 문제 검토 및 수정:
GPT가 만들어 준 문제를 확인하고, 조건이 모순되지는 않는지, 난이도가 적절한지, 표현이 명확한지 등을 검토한 뒤 필요하면 일부 조건이나 보기 수정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정리:
•
만들고 싶은 논리 문제 유형을 정한다.
•
변수와 조건(논리식)을 설정한다.
•
조건을 자연어 문장으로 바꾸고 질문을 만든다.
•
GPT에게 조건과 요구사항을 제시하여 문제가 생성되도록 한다.
•
생성된 문제를 검토, 필요 시 수정 요청을 한다.
이 과정을 거치면 GPT를 활용해 원하는 형태의 논리 문제를 손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