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인원 컨설팅
home
공무원 합격 컨설팅
home

창업화 지원금 정책자금 총정리 (1)

아는 사람만 아는 사업화 지원금

사업을 시작하기 전이거나, 혹은 사업이 이제 막 궤도에 오르기 시작한 ‘성숙기 이전 단계’라면, 반드시 창업중심대학, 초기창업패키지와 같은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에 도전해보는 것이 결정적인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대표님이 이 중 최소 하나의 지원금을 받지 못했다면,
정말 매년 수천만원을 놓치고 있는 사실을 명확히 기억하셔야합니다.

이 지원사업은 ‘엄청나게 어렵거나, 대단한 스펙이 있어야만’ 되는 것이 아닙니다

기획력이 약해도 된다
초창기 지원사업은 완벽한 사업 모델이 아니라도 괜찮습니다. 오히려 ‘실패해도 좋으니 실험해보라’는 의미로 정부가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설득력 있게 ‘이걸 왜 해야 하는지’를 말할 수 있다면 충분합니다.
특허 없어도 된다, MVP 없어도 된다
아이디어만 있어도, 시장 분석만 잘 되어 있어도, 사용자가 적더라도 ‘검증해보려는’ 시도 자체가 의미 있다고 보는 평가 항목입니다. 특히 사회적 문제 해결, 지역기반 창업, 디지털 전환 같은 시대 흐름에 맞춘 주제는 가산점도 받을 수 있습니다.
팀원이 없어도 된다
단독 창업자도 매우 많습니다. 특히 기술적 창업이 아니라면 팀 구성보다 ‘의지’와 ‘실행력’이 더 중요하게 평가됩니다.

25년 사업화 지원금 및 정책자금 총정리

구분
사업명
지원내역
예비
1~3년
3~7년
사업화
재도전성공패키지(일반형, IP전환형)
1억 내외
사업화
청년창업사관학교
1억(7천 평균)
사업화
예비창업패키지
1억(평균 5천만원)
사업화
초기창업패키지
1억
사업화
창업중심대학
1억~1.5억(도약)
R&D
창업성장기술개발 디딤돌(20억 미만)
1.2억/1년
R&D
서울형 혁신챌린지
예선 2천, 결선 2억
R&D
신사업창업사관학교
4000만원(소진공대출연계)
R&D
지역기반 로컬크리에이터
4천만원
소상공인
강한소상공인
4천만원+6천만원
소상공인
소상공인희망자금(소진공 직접대출)
1억 운전자금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기술보급
5백만원~1천5백만원
소상공인
프랜차이즈 지원(매칭, 성장, 상생협동)
5천만원~1억원
소상공인
청년희망융자지원자금(소진공 직접대출)
1억(2.5% 고정금리)
소상공인
창업기반패키지자금(중진공 직접대출)
운전 5억, 시설 60억(3회)
융자
기술보증기금(예비+창업자+사전보증, 청년우대)
1억~100억
융자
기보벤처캠프
15억 융자, 투자
융자
신보네스트
6억 융자, 투자
바우처
데이터바우처
구매1.8천,가공4.5천,AI 6.5천
바우처
AI바우처
2억(알고리즘 가공,판매)
바우처
비대면바우처
400만(15,000개사)
바우처
클라우드 바우처
1.5천, 5천만원
바우처
IP디딤돌, IP바우처
2.5천만원
바우처
혁신바우처
3천만원~1억
투자유치
도전 K-스타트업(혁신창업리그)
2천만원~3억 상금
투자유치
팁스(TIPS)
5억/2년, 1억 상금
투자유치
청년벤처캠프
100만원~2천만원상금
투자유치
삼성 C-Lab 아웃사이드
1억 상금, 업무공간

1. 재도전성공패키지(일반형, IP전환형)

목적: 재창업자(폐업 경력 포함)가 다시 성공적으로 창업할 수 있도록 자금, 멘토링, 시장 연계 지원
지원대상: 예비 및 3년 이내 재창업자 (폐업 이력 필수, 팀도 가능)
지원금액: 최대 1억원(일반형), 1억 내외(IP전환형)
주요내용: 사업화 자금, 실패 원인 분석, 멘토링, 사업모델 피봇팅·특허/IP 기반 전환 지원, 마케팅/판로 연계
특징: 실패 경험을 강점으로 강조할 것, IP기반형은 특허 활용/기술 피봇팅 필수

2. 청년창업사관학교

목적: 유망 청년(만 39세 이하) 창업자에게 사업화, 공간, 교육, 네트워크 등 종합 지원
지원대상: 예비~창업 3년 이내 법인기업(대표 만 39세 이하)
지원금액: 최대 1억원(평균 7천만원), 사업화자금+입주공간+교육
주요내용: 전담 매니저 배정, 입주공간(창업사관학교 내), 멘토링, 후속투자 연계, 단계별 피드백
특징: 서류-PT-현장실사(전업 여부 중요), 타 기관 대비 밀착관리

3. 예비창업패키지

목적: 예비창업자의 혁신적 아이디어의 창업 실현을 지원
지원대상: 예비창업자(공고 마감일 기준 미등록), 나이/경력 무관
지원금액: 최대 1억원(평균 5천만원)
주요내용: 사업화 자금, 교육, 전문가 멘토링, 시제품 제작, 특허출원, 마케팅, 초기 매출 지원
특징: 개인(팀) 단위, 시제품 검증·MVP 중심

4. 상생프랜차이즈창업장

목적: 우수 프랜차이즈 본부-창업자 간 상생 창업 지원
지원대상: 예비창업자, 소상공인, 프랜차이즈 본부
지원금액: 7천만원(평균 4,800만원)
주요내용: 창업비용(가맹비, 인테리어, 교육비 등) 지원, 본부 매칭, 창업컨설팅
특징: 선정된 프랜차이즈 본부와 매칭 필수, 사전 교육 이수 필요

5. 초기창업패키지

목적: 창업 3년 이내 혁신 창업자에 사업화·멘토링·투자 연계 지원
지원대상: 창업 3년 이내(법인·개인, 대표 기준)
지원금액: 최대 1억원
주요내용: 사업화 자금, 멘토링, 공간, 투자연계, 시제품, 마케팅
특징: 예비창업패키지 수료자는 우선가점, PT·실행계획 중요

6. 창업중심대학

목적: 대학 중심의 창업 지원, 고도성장 지원, 네트워크 연계
지원대상: 예비~창업 3년 이내, 대학 창업지원단 연계(학생/졸업생, 타교 지원도 가능)
지원금액: 1억~1.5억(도약기/고도성장형 구분)
주요내용: 사업화 자금, 전담PM, 입주공간, 교육, 대학 협력네트워크
특징: 대학별 특화 트랙, 실험실 창업(공동 연구 등) 강점

7. 창업성장기술개발 디딤돌(20억 미만)

목적: 초기 창업기업 기술개발, R&D 역량 강화
지원대상: 예비~7년 미만 창업기업
지원금액: 연 1.2억원 이내(최대 2년)
주요내용: R&D 직접비(인건비, 시제품, 시험인증), 외주, IP, 기술마일스톤 관리
특징: 실험데이터, 시제품 실물 필수, 현장심사 빈번

8. 서울형 혁신챌린지

목적: 사회·환경·도시문제 해결형 혁신 기술 지원
지원대상: 서울 소재 예비~7년 창업기업(컨소시엄 포함)
지원금액: 예선 2천만원, 결선 2억원
주요내용: 2단계 공모(예선-본선), 시제품, 실증테스트, 네트워킹
특징: 서울시 정책연계(스마트시티, 환경 등) 반영, 서울 사업자등록 필수

9. 신사업창업사관학교

목적: 신산업, 신유망 창업아이템 집중 육성
지원대상: 예비~창업 3년, 혁신 신사업 창업자
지원금액: 4,000만원(소진공 대출 연계)
주요내용: 사업화 자금, 신사업교육, 판로연계, 대출 연계
특징: 신산업 위주(4차 산업, ESG 등), 대출 연계 우대

10. 지역기반 로컬크리에이터

목적: 지역자원 기반 창업 활성화
지원대상: 예비~창업 3년, 지역 특화분야 창업자(관광, 문화, 로컬푸드 등)
지원금액: 4천만원
주요내용: 사업화 자금, 로컬네트워크, 마케팅, 시제품
특징: 지역 소재지/테마 연계 필수

11. 강한소상공인

목적: 소상공인의 자생력·경쟁력 강화
지원대상: 소상공인(예비 포함)
지원금액: 4천만원(성장), 6천만원(혁신)
주요내용: 사업화, 시설·장비, 마케팅, 컨설팅, 네트워킹
특징: 혁신·성장형(두 단계), 실적 중심 심사

12. 소상공인희망자금(소진공 직접대출)

목적: 소상공인 운영자금 직접 지원
지원대상: 소상공인(대표자 기준)
지원금액: 1억(운전자금)
주요내용: 직접대출, 저금리(고정금리), 자금신청-서류심사-대출실행
특징: 상시 신청(연중), 신용·재무 체크

13. 스마트상점 기술보급

목적: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촉진(스마트기술 도입)
지원대상: 소상공인, 프랜차이즈 매장
지원금액: 500만~1,500만원
주요내용: POS, IoT, 무인결제, 스마트오더 등 설비비용
특징: 실제 매장 시공·인증 필요, 디지털화 프로젝트

14. 프랜차이즈 지원(매칭, 성장, 상생협동)

목적: 프랜차이즈 본부-점포의 성장, 혁신 촉진
지원대상: 프랜차이즈 본부, 예비창업자(가맹 희망자)
지원금액: 5천만원~1억원
주요내용: 창업비용, 시설, 교육, 컨설팅, 성장지원
특징: 본부/가맹점 동시 평가, 매칭 후 선정

15. 청년희망융자지원자금(소진공 직접대출)

목적: 청년 창업자 자금 지원(운전자금)
지원대상: 만 39세 이하 청년 창업자
지원금액: 1억(고정금리 2.5%)
주요내용: 저리 운전자금, 신용 심사, 대출 실행
특징: 신용등급, 재무상태 중요, 상시신청

16. 창업기반패키지자금(중진공 직접대출)

목적: 창업기업 성장 및 시설 투자 지원
지원대상: 예비~7년 이내 창업기업
지원금액: 운전 5억, 시설 60억(최대 3회)
주요내용: 운전자금, 시설확장, 대출, 직접 실행
특징: 신용·기술평가, 재무상태 심사, 연중

17. 기술보증기금(예비+창업자+사전보증, 청년우대)

목적: 혁신·창업기업 자금보증 및 우대
지원대상: 예비~7년 창업기업, 혁신기업(청년/여성/특화트랙 있음)
지원금액: 1억~100억
주요내용: 신용·기술·사업성 평가 후 보증서 발급, 연계대출
특징: 사업계획서/기술서 충실히 작성 필요, 보증 한도 관리

18. 기보벤처캠프

목적: 성장단계 스타트업(벤처) 투자, 융자, 네트워크 제공
지원대상: 예비~7년 창업기업, 벤처인증, 성장형 우대
지원금액: 15억(융자+투자)
주요내용: IR, 투자, 네트워크, 해외 진출 연계
특징: 피칭, 네트워킹, 단계별 심층 평가

19. 신보네스트

목적: 혁신형 창업기업 성장 지원, 투자·융자 연계
지원대상: 예비~7년 창업기업, 기술성평가 통과
지원금액: 6억(융자+투자)
주요내용: IR, 네트워킹, 멘토링, 투자심사
특징: 실적·기술·시장성 동시 검토, IR 실전 심사

20. 데이터바우처

목적: 데이터/AI 기반 사업화, 서비스 개발 지원
지원대상: 예비~7년 창업기업, 데이터 활용·신사업 희망 기업
지원금액: 데이터 구매 1,800만, 가공 4,500만, AI 6,500만
주요내용: 공급기업과 컨소시엄 구성 필수, 데이터 구매/가공/AI서비스 구축
특징: 과제구체성, 데이터 활용성 심사, 컨소시엄 사전협의 필요

21. AI바우처

목적: AI기술 도입, 서비스/공정 혁신 지원
지원대상: 예비~7년 창업기업, AI 적용 아이템 보유
지원금액: 2억(알고리즘 개발/가공, AI서비스 구축 등)
주요내용: 공급기업 컨소시엄, 과제 구체성, 실증 데이터 요구
특징: 기술·사업성·실행력 동시 평가

22. 비대면바우처

목적: 비대면 서비스(IT, SaaS 등) 도입 지원
지원대상: 예비~7년 창업기업, 중소기업
지원금액: 400만(1만5천개사)
주요내용: 화상회의, 재택근무, 온라인교육 등 솔루션 도입비용
특징: 바우처 포인트, 공급기업 리스트 활용

23. 클라우드 바우처

목적: 클라우드 인프라/서비스 도입 지원
지원대상: 예비~7년 창업·중소기업
지원금액: 1,500만/5천만원
주요내용: 클라우드 서버/솔루션, 데이터 이전, 운영비 지원
특징: 선정 후 공급기업 매칭, 실사 필수

24. IP디딤돌, IP바우처

목적: 창업기업의 특허/IP 확보·활용 지원
지원대상: 예비~7년 창업기업, IP(특허, 실용신안 등) 전략 보유
지원금액: 2,500만원
주요내용: 특허 컨설팅, 출원, 심사비, IP 포트폴리오 구축
특징: 실적 중심, IP 전략 구체화

25. 혁신바우처

목적: 혁신형 기업의 컨설팅·기술·마케팅 통합 지원
지원대상: 예비~7년 창업기업, 중소기업
지원금액: 3천만~1억원
주요내용: 전략컨설팅, 기술혁신, 마케팅 패키지
특징: 자유 과제, 과제구체성 중요

26. 도전 K-스타트업(혁신창업리그)

목적: 전국 최대 스타트업 경진대회, 시장 검증/투자/IR 지원
지원대상: 예비~7년, 모든 업종, 개인/팀
지원금액: 2천만3억원 상금(예선본선)
주요내용: 경진대회(서류-PT-본선), 멘토링, 투자 연계, 언론 홍보
특징: 실전 발표/IR, 수상실적 가점 많음

27. 팁스(TIPS)

목적: 민간투자주도(VC, 엔젤)형 R&D·사업화 지원
지원대상: 예비~7년 창업기업, VC 추천 필수
지원금액: R&D 5억(2년), 사업화 1억, 상금 등
주요내용: 투자+정부 매칭 R&D, 후속투자, 글로벌 진출 지원
특징: 운영사(VC)와 네트워킹·내부 추천이 필수, 서류·PT·실사 매우 엄격

28. 청년벤처캠프

목적: 청년창업자 투자·상금·네트워크 지원
지원대상: 예비~7년, 만 39세 이하
지원금액: 100만~2천만원 상금
주요내용: IR 피칭, 멘토링, 네트워킹, 상금
특징: 청년 한정, 실전 피칭·네트워크 중심